전체 글
-
JSP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17. 01:14
열여덟 번째로 포스팅하게 될 내용은 JSP에 대한 내용입니다. [ JSP란? ] JavaServer Pages 의 약자 HTML 코드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어플리케이션 도구 JSP는 Servlet 기술의 확장형이라고 볼수 있음 Servlet을 보완한 스크립트 방식 표준으로, Servlet의 모든 기능 + 추가적인 기능 을 가짐 [ JSP의 특징 ] JSP를 통해 정적인 HTML과 동적으로 생성된 contents(HTTP 요청 파라미터)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 즉, 사용자가 입력한 contents에 맞게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 JSP 가 실행되면 자바 서블릿(Servlet) 으로 변환되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되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함 그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웹페이..
-
CGI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14. 23:26
열입곱 번째로 포스팅하게 하게 될 내용은 CGI에 관한 내용입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란? 웹서버와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이나 규약을 CGI라고 함 CGI란 서버와 외부 스크립트 또는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할 때 이루어지는 입출력을 정의한 표준 웹서버와 요청을 받아 처리해줄 로직을 담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사이의 인터페이스 CGI는 특별한 라이브러리나 도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로 제작된 웹서버와 프로그램간의 교환방식 웹서버가 특정 언어로 쓰인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아니라 이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언어든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만 한다면 웹서버와 소통할 수 있음 별도로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에 HTML의 Get or Post ..
-
HeidiSQL(하이디 SQL)이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10. 03:50
열여섯 번째로 포스팅하게 될 내용은 HeidiSQL에 대한 내용입니다. [ HeidiSQL이란? ] ‘MySQL Front’로 알려졌던 제품이며, 오픈소스 클라이언트인 프리 소프트웨어 HeidiSQL로 DBMS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MySQL 로컬 서버나 원격 서버에 세션을 만들 수 있는 계정이 있어야 함 이 세션으로 사용자는 접속된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의 MySQL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작업이 끝나면 접속을 종료 HeidiSQL은 DBMS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 [ HeidiSQL 사용이유 ] GUI로 제공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가 가능 여러 종류의 DBMS를 하나의 툴로 관리하고 편집할 수 있기 때문 툴 안에서 SQL문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우스를 통해 많은 작업을 수행..
-
Servlet이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10. 01:57
열다섯 번째로 포스팅하게 될 내용은 Servlet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 Servlet이란?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에 대해 특정 기능을 수행, HTML문서를 생성등의 응답을 하는 인터넷 서버 프로그램 서블릿은 서버에서 실행되다가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을 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웹 브라우저에 결과를 전송 서블릿이란 Dynamic Web Page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자바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기술 웹을 만들때는 다양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이 있기 마련이고 이 요청과 응답에는 규칙이 존재 서블릿은 이러한 웹 요청과 응답의 흐름을 간단한 메서드 호..
-
HTML, CSS, JS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9. 15:15
열네 번째로 포스팅 하게 될 내용은 HTML, CSS, JS에 관한 내용입니다. [ HTML이란? ] HTML 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 약어로 HyperText(웹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기능을 가진 문서를 만드는 언어 구조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언어로 hyper link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흔히 말하는 웹 페이지를 위한 마크업 언어라고 할 수 있음 Web 페이지는 HTML 마크업 됨에 따라 외형이 형성됨 HTML은 여러 태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태그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형태의 문서를 만들어 갈 수 있음 인터넷문서는 Hyper Text의 원리를 이용하여 여러 문서를 링크시켜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검색하여 볼 수 있게 만듬 다양한 표현의 가..
-
커넥션풀(DBCP)이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6. 22:51
열세 번째로 포스팅하게 될 내용은 커넥션풀에 대한 내용입니다. [ 커넥션 비용 ] WAS와 DB 사이의 연결에는 많은 비용이 듬 MySQL8.0을 기준으로 서버가 DB에 연결하기 위한 Connecting 비용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 -> 이를 보안하는 방법이 Connection Pool [ 커넥션풀DBCP이란 ] WAS(웹 컨테이너)가 실행 될 때 DB연결을 위해 미리 일정수의 connection 객체를 만들어 Pool에 담아 뒀다가 사용자의 요청이 발생하면 Pool에서 생성되어 있는 Connection 객체를 넘겨주고 사용자가 사용이 끝나면 Connection 객체를 다시 Pool에 반환하여 보관하는 기법 [ 커넥션풀 사용이유 ] 자바에서 DB에 직접 연결해서 처리하는 경우(JDBC) 드라이버(Driv..
-
Spring이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3. 02:47
열 두번째로 포스팅하게 된 내용은 Spring에 대해서 입니다. [ Spring이란 ] Spring이란 JAVA 기술들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프레임 워크 핵심 기술에 담긴 프로그래밍 모델을 일관되게 적용해서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전 계층과 전 영역에 전략과 기능을 제공해줌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개발하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사용되는 것 Spring 은 수많은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에서 매우 많은 서비스를 만들 때 사용 자바 백엔드 개발자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대부분 스프링을 사용 JAVA의 웹 프레임워크로 JAVA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 JAVA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로그래밍 틀 옛날에 비교하면 지금은 JAVA의 활용도가 높아졌..
-
Tomcat과 Nginx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2. 17:23
열 한 번째로 포스팅하게 된 내용은 Tomcat과 Nginx에 대한 내용입니다. 웹 서버 컴퓨터를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게 서버로 만들어주는 서비스 대표적으로 아파치, NginX, IIS 등 웹 서버의 기본적인 역할 웹 서버가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한 클라이언트가, HTML, CSS, JSP 등의 파일을 볼 수 있도록 디렉토리를 개방 클라이언트가 특정 주소 입력 시 원하는 화면을 브라우저에서 출력하게 도와줌 기본적으로 정적인 웹 사이트를 제공 아파치나 Nginx의 모듈을 이용해 동적인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음 아파치랑 PHP, MySQL을 연동해 PHP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을 APM방식(Apache, PHP, MySQL) [ 톰캣(Tomcat)이란 ] 톰캣(Tomcat) To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