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idiSQL(하이디 SQL)이란?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2022. 10. 10. 03:50
열여섯 번째로 포스팅하게 될 내용은 HeidiSQL에 대한 내용입니다.
[ HeidiSQL이란? ]
- ‘MySQL Front’로 알려졌던 제품이며, 오픈소스 클라이언트인 프리 소프트웨어
- HeidiSQL로 DBMS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MySQL 로컬 서버나 원격 서버에 세션을 만들 수 있는 계정이 있어야 함
- 이 세션으로 사용자는 접속된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의 MySQL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작업이 끝나면 접속을 종료
- HeidiSQL은 DBMS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
[ HeidiSQL 사용이유 ]
- GUI로 제공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가 가능
- 여러 종류의 DBMS를 하나의 툴로 관리하고 편집할 수 있기 때문
- 툴 안에서 SQL문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마우스를 통해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
- 오픈 소스로 제공되기 때문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
- HeidiSQL 하나만 있어도 MariaDB, MySQL, Microsoft SQL, PostgreSQL, SQLite 등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접속해서 데이터 구조를 보고 편집할 수 있음
- HeidiSQL은 하나의 툴로도 위에서 언급한 RDBMS를 모두 관리할 수 있음
- 하나의 창에서 여러 서버에 연결도 가능
[ HeidiSQL 기능 ]
서버연결
- 다중 접속과 내부의 다중 계정 접속
- 호환 서버를 위한 함축된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 TCP/IP, 명명된 파이프(소켓)또는 터널링 프로토콜 (SSH)을 통한 서버 인터페이스 제공
- 하나의 윈도우 내에 다중 병렬 활성 세션
- 서버 내 유저 관리 : 추가, 삭제 그리고 유저 편집과 권한 설정
- 전역 또는 데이터베이스 별 이용자 권한 설정 관리
- 데이터베이스를 SQL 파일 또는 다른 서버로 내보내기
- 다중 쿼리 탭, 각각이 배치 결과에 따라 하위 탭을 가질 수 있음
서버 호스트
- 모든 서버 변수의 보기와 필터 (예, system_time_zone)
- 현재 세션 또는 전역 서버 변수 편집
- 서버 통계 변수 보기, 시간당 초당 평균값 보기
- 수행된 SQL 분석과 나쁜 프로세스를 죽이기 위한 현재 프로세스 보기
- SQL 명령당 명령어 통계보기 (% 단위로)
데이터베이스
- 서버 상 모든 데이터베이스 보기, 테이블과 데이터 작업을 위한 단일 데이터베이스 연결
- 연결된 데이터베이스 보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트리 구조 내의 전체 또는 테이블 크기를 KB/MB/GB로 보기
- 신규 데이터베이스 생성, 기존 데이터베이스명, 문자셋, 협업 등 바꾸기, 데이터베이스 삭제하기
테이블 뷰, 프로시저, 트리거와 이벤트
- 선택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모든 객체 보기, 비우기, 이름 바꾸기, 그리고 객체 삭제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컬럼, 인덱스, 외래 키 편집. 마리아 DB 서버의 가상 컬럼 지원
- VIEW 쿼리 편집과 세팅
- 프로시저 SQL 본문과 변수 수정
- 트리거 SQL 본문과 세팅 수정
- 예약 이벤트 SQL 본문 시간 설정 수정
'프로그래밍 기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란? (0) 2022.10.17 CGI란? (0) 2022.10.14 Servlet이란? (0) 2022.10.10 HTML, CSS, JS란? (0) 2022.10.09 커넥션풀(DBCP)이란? (0) 2022.10.06